본문 바로가기

단상 모음2

소프트웨어 개발에 논리력이 중요한 이유 소프트웨어 붐이 일어나면서 코딩학원이 우후죽순 생긴다고 한다. 코딩을 이른 나이에 접해보는 것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논리력이라고 생각한다. 필자의 경우 프로그래머로서의 직상생활을 처음 시작할때 참 고생을 많이 했었다. 그 당시만해도 월화수목금금금이 일상이었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고 내가 맡은 부분이 개발완료가 되지 않아서 금금금이 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 당시에는 왜 그렇게 화면에서 넘긴(혹은 넘겼을 거라고 생각한? ^^;) 데이터가 서버 로직으로 넘어오지를 않았는지.. 그리고 다른 로직으로 넘어갈때 왜 그 데이터들이 없어졌었는지... 지금 생각하면 웃음이 나기도 하지만 그때는 그런 것들이 참 어려웠었다. 개발도구가 잘 되어 있어서 디버그 모드로 데이터들을 보는 것은 알았지만, .. 2024. 1. 7.
공공SW '변동형 계약제' 도입에 대한 단상 https://www.etnews.com/20240104000268 공공SW '변동형 계약제' 도입 정부가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 품질 저하 요인으로 지목돼 온 확정형 계약 체계를 변동형 계약 체계로 전환한다. 사업의 유연성을 높이자는 업계 의견이 대거 반영된 결과다. 4일 업계에 따르 www.etnews.com 이게 잘 정착이 되면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도 보다 나은 품질이 될것이라 기대가 된다. 흔히 공공 프로젝트들을 수행하다 보면, 이미 예산책정이 되어서 더이상 지출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아무리 기획문서를 잘 만들고 HTML 파일을 퍼블리싱 해서 가시화 한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만들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소프트웨어가 어느정.. 2024.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