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송장번호1 운송장 번호 채번에 대한 고찰 물류 관련해서 서비스를 개발하다 보면 택배 운송장을 자체 출력하도록 구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CJ대한통운, 한진택배 등 택배사별로 RESTful API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운송장 번호를 반환해 주거나 특정 대역의 운송장 번호 범위를 제공해 주고(DB TO DB 방식일 경우) 개발하는 쪽에서 해당 대역의 운송장 번호를 직접 테이블에 저장하고 사용하도록 협의 하기도 한다. 생각해 보면 간단하고 쉬운 문제다. 운송장 번호를 제공받고 해당 운송장 번호를 운송장에 출력해서 택배배송을 맏기면 해당 운송장 번호로 상품의 트래킹이 가능하니까.. 그러나, DB TO DB 방식에서 특정 대역의 운송장 번호 범위를 제공받은 경우에는 운송장 번호를 주문별로 고유하게 채번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이중화 서버에 서버별 멀티 쓰레.. 2023. 12. 16. 이전 1 다음